콜마BNH '경영 정상화' 환호 vs 콜마홀딩스 '재료 소멸' 우려…소액주주 행동주의 부상
[2025년 7월 28일] 콜마그룹 경영권 분쟁의 향방을 가를 법원의 첫 번째 철퇴가 내려졌다. 지난 7월 25일, 대전지방법원이 콜마홀딩스의 콜마비앤에이치(이하 콜마BNH) 임시주주총회 소집 요구를 허가하면서, 윤상현 부회장이 주도하는 경영 쇄신에 힘이 실리게 됐다. 이 판결을 기점으로 분쟁의 중심에 선 두 회사의 온라인 토론방은 극명하게 엇갈린 반응을 보이며, '한 지붕 두 민심'의 현주소를 여실히 드러냈다.
◆ 콜마BNH 토론방: "심판의 날"…환호와 조직적인 움직임
콜마BNH 토론방은 그야말로 축제 분위기다. 법원의 임시주총 소집 허가 소식은 수년간 누적된 주주들의 불만과 분노를 해소하는 '사이다' 판결로 받아들여졌다. "드디어 경영 정상화 시작", "윤여원 퇴출은 당연한 결과" 등 현 경영진 교체에 대한 기대감이 폭발하며, 게시판은 오랜만에 희망 섞인 글로 채워졌다.
주주들은 이번 판결을 '주주가 주인'임을 확인시켜 준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했다. 한 주주는 "주가 5토막 내고 실적 개판 된 상황에서 전문 경영인이 들어오는 것은 당연하다"며 "이마트 정용진 사례처럼, 능력 없는 오너는 물러나는 게 맞다"고 주장해 높은 공감을 얻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소액주주들의 조직적인 움직임이다. "ACT에 가입해서 주주인증 하세요", "1.5%가 되면 우리도 임시주총을 열 수 있다" 등 소액주주 행동 플랫폼을 중심으로 결집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이는 단순한 불만 표출을 넘어, 향후 열릴 임시주총에서 실질적인 의결권을 행사하려는 주주들의 적극적인 의지로 풀이된다. 회사가 발표한 2분기 실적 개선 소식에 대해서는 "분쟁이 생기니 갑자기 영업이익이 개선되나", "억지로 짜낸 실적"이라며 냉소적인 반응이 주를 이뤘다.
![]() |
콜마비앤에이치 주봉 (2025-07-28) |
◆ 콜마홀딩스 토론방: "재료 소멸?"…불안과 단기 차익 실현
반면, 6월 중순 경영권 분쟁 이슈로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뜨거웠던 콜마홀딩스 토론방의 분위기는 한풀 꺾인 모습이다. 법원의 판결이 나온 7월 말, 주가가 기대만큼 오르지 않거나 오히려 조정을 받자 "재료 소멸", "시즌 종료"를 외치며 불안감을 표출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났다.
이곳의 주된 관심사는 경영 정상화의 과정보다는 '다음 호재는 무엇인가'에 쏠려있다. "법원 휴가가 끝나야 다시 시작", "달튼이 움직여야 한다" 등 다음 이벤트를 기다리는 단기 투자자들의 심리가 짙게 깔려있다. "가족끼리 짜고 치는 쇼"라는 음모론과 함께, "뉴스에 사서 소문에 팔았다"며 단기 차익 실현 후 떠나는 투자자들의 인증 글도 속속 올라왔다.
물론 일부 장기 투자자들은 "지분 싸움은 이제 시작"이라며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놓지 않았지만, 전반적인 분위기는 6월의 열광적인 모습과는 달리 차분해지거나 오히려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양상이다.
![]() |
콜마홀딩스 주봉 (2025-07-28) |
◆ 엇갈린 민심, 분쟁은 '현재진행형'
결론적으로, 법원의 판결은 두 토론방에 전혀 다른 의미로 다가왔다. 콜마BNH 주주들에게는 '고통의 끝, 희망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었지만, 콜마홀딩스 토론방의 일부 투자자들에게는 '단기 이벤트의 종료'로 인식됐다.
하지만 콜마그룹의 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9월 말까지 열릴 임시주총에서의 표 대결과, 여전히 진행 중인 윤동한 회장과 윤상현 부회장 간의 '주식 반환 소송'이라는 거대한 변수가 남아있다. 한 지붕 아래 두 개의 민심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시장의 관심은 계속되고 있다.
관련 글
- 2025-07-28 [심층분석] '경영권 분쟁'은 축제인가, 폭탄 돌리기인가
- 2025-07-22 두 개의 토론방, 한 지붕 두 민심
- '남매의 난'에서 '부자 소송'으로…콜마家 분쟁 격화
- [심층기획/차트분석] 콜마家 '왕좌의 게임' 연대기, 주가 차트와 토론방 민심으로 다시 보기
- 2025-06-19 '왕자의 난'에 이은 '부왕의 역습'… 콜마그룹, 경영권 분쟁 격화일로
- 2024-08-21 콜마비앤에이치 (KOSDAQ: 200130) 기업 브리핑
댓글 없음:
댓글 쓰기